카테고리 없음

연장수당 휴일수당 야간수당 조건 및 계산

10star 2024. 5. 27. 17:34
반응형

연장수당 휴일수당 야간수당 조건 및 계산

 

 

 

목차

     

     

     

     

    연장수당 휴일수당 야간수당 조건 및 계산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보험 비교견적 👆

     

    대출 찾기 👆

     

    연장수당 계산, 조건

    연장수당 계산, 조건

    근로기준법 제56조 1항에 따라 연장근로에 대해 고용주는 근로자에게 통상임금의 50%를 더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법정 근로시간은 성인 기준으로 1일 8시간, 주 40시간이며, 연장근로는 최대 12시간, 즉 주 52시간까지 가능합니다.

     

    연장수당 조건 👆

     

     

    예시:

    • 시급: 9,860원
    • 근로 시간: 10시간 (기본 8시간 + 연장 2시간)

    계산:

    • 기본 임금: 9,860원 × 8시간 = 78,880원
    • 연장수당: 9,860원 × 1.5 × 2시간 = 29,580원
    • 총 임금: 108,460원

     

     

    연장수당 계산 👆

     

    휴일수당 계산, 기준

    휴일수당 계산, 기준

    휴일 근로 시 최저시급의 1.5배를 기본으로 지급하며, 연장 근로 시 2.0배의 수당을 지급받습니다.

     

    예시:

    • 시급: 9,860원
    • 근로 시간: 10시간 (기본 8시간 + 연장 2시간)

    계산:

    • 8시간 근무: 9,860원 × 1.5 × 8시간 = 118,320원
    • 연장 2시간: 9,860원 × 2 × 2시간 = 39,440원
    • 총 임금: 157,760원

     

    휴일수당 계산 👆

     

    야간수당 계산(알바)

    야간수당 계산(알바)

    근로기준법 제56조 3항에 따라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의 근로는 임금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예시:

    • 시급: 9,860원
    • 근로 시간: 오후 4시간 + 야간 2시간

    계산:

    • 기본 임금: 9,860원 × 6시간 = 59,160원
    • 야간수당: 9,860원 × 0.5 × 2시간 = 9,860원
    • 총 임금: 68,520원

     

    야간수당 계산 👆

    5인 미만 사업장 적용 여부

    5인 미만 사업장 적용 여부

     

    5인 미만 사업장에는 가산수당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1.5배, 2.0배의 가산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없으며, 근로자가 요구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은 사업주와 근로자 간에 오해가 없도록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마무리

    현행법상 근로자들의 권리가 강화되었으나, 여전히 법적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사례가 많습니다. 고용주는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근로자는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며, 정부기관은 불합리한 처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강화된 근로 감독을 실시해야 합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감독과 개선을 통해 근로자들이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함게보면 도움되는 글

    🔎 주휴수당 조건, 계산기 간편 이용법 [일용직 포함] (tistory.com)

     

    주휴수당 조건, 계산기 간편 이용법 [일용직 포함]

    주휴수당 조건, 계산기 간편 이용법 [일용직 포함] 주휴수당 조건, 계산기 간편 이용법 [일용직 포함] 1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는 유급 주휴일을 받을 수 있다. 주휴일에는 근

    453010star.tistory.com

    함께 많이 보는 정보

    숨은 정부지원금 조회 👆

     

    정부24 지원금 찾기 👆

     

    복지로 지원금 신청 👆

     

    내게 필요한 대출한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