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원 발급 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과정중)
목차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원 발급 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과정중)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를 위해 필요한 서류 중 하나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원'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세 관련 서류는 종류가 많아서 헷갈릴 수 있는데요, '지방세 납세 증명서',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지방세 납부 확인서'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 관련 서류의 차이점
- 지방세 납세 증명서
- 용도: 체납된 지방세가 없음을 증명하는 서류로, 은행 대출이나 부동산 계약 시 체납 여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내용: 현재 체납된 지방세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
-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 용도: 해당 기간 동안 고지된 지방세의 종류별 금액을 확인하는 서류로, 종합소득세 신고 시 비용 처리 참고 자료로 사용됩니다.
- 내용: 한 해 동안 고지된 지방세의 종류별(자동차세, 교육세, 등록면허세 등) 금액.
- 지방세 납부 확인서
- 용도: 납부한 지방세에 대해 납부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 내용: 이미 납부한 지방세에 대한 내역을 확인.
서류 발급 방법
1. 정부24 이용하기
-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 후, 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 중앙 검색창에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 '서울'인지 '서울 외'인지에 따라 발급 탭을 선택합니다.
- 신청 내용에서 개인 또는 법인을 선택하고, 주소, 과세년도, 사용 목적을 입력합니다.
- 과세 목록을 조회하고, 출력 방법을 선택합니다. 대부분 온라인 출력을 선택합니다.
2. 위택스 이용하기
-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 후, 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 상단의 [발급] 탭에서 '문서발급 안내 및 발급'을 클릭합니다.
- '지방세 과세 증명서'를 선택하여 지방 세목별로 부과된 지방세를 확인합니다.
3. 주민센터 및 무인 민원 발급기 이용
- 정부24 홈페이지 상단의 [고객센터] 탭에서 '무인민원 발급 안내'를 클릭합니다.
- 무인민원 발급기의 운영 시간과 위치를 확인합니다.
- 가까운 무인민원 발급기나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습니다.
이렇게 각각의 서류와 발급 방법을 정리하면 보다 쉽게 필요한 서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성공적인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 되시길 바랍니다.
✅ 함게보면 도움되는 글
🔎 자동차세 연납신청 기간 방법 위택스 (tistory.com)
🔎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 정부24 신청 페이지 (tistory.com)
✅ 돈 되는 정보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