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압류방지통장은 특정 자금에 대해 압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통장으로, 종류에 따라 개설 조건, 입출금 방식, 자동이체, 체크카드 발급 가능 여부가 다릅니다.
1. 압류방지통장 종류 및 개설 조건:
급여통장 압류방지 (행복지킴이통장):
- 개설 조건: 급여소득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 증빙서류 필요)
- 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농협 등
- 신한은행: 신한은행 공식 홈페이지
- 우리은행: 우리은행 공식 홈페이지
- 하나은행: 하나은행 공식 홈페이지
- 국민은행: 국민은행 공식 홈페이지
- 농협은행: 농협은행 공식 홈페이지
주택연금 압류방지:
- 개설 조건: 주택연금 수령자
- 은행: 주택금융공사 지정 금융기관
생계형 압류방지:
- 개설 조건: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연금 수급자, 한부모가족 지원금 수급자 등
- 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농협 등
기타 압류방지 (실업급여, 아동급여 등):
- 개설 조건: 해당 급여 수급자
- 은행: 해당 급여 지급 기관 지정 금융기관
2. 입금 및 출금:
- 입금: 압류방지 대상 자금 (급여, 연금, 수당 등)만 입금 가능
- 출금: 대부분 자유롭게 출금 가능하나, 일부 통장은 출금 한도가 있을 수 있음
- 주의사항: 압류방지 대상이 아닌 자금이 입금될 경우 압류될 수 있음
3. 자동이체:
- 대부분의 압류방지통장은 자동이체 기능을 지원합니다.
- 공과금, 카드대금, 보험료 등 자동이체 설정 가능
4. 체크카드 발급:
- 대부분의 압류방지통장은 체크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
- 발급 가능한 체크카드 종류는 은행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5. 압류방지통장 개설 시 유의사항:
- 개설 조건 확인: 본인이 해당하는 압류방지통장의 개설 조건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 은행별 상품 비교: 은행별로 압류방지통장 상품의 금리, 수수료, 부가 서비스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비교 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압류방지 한도 확인: 압류방지통장은 압류방지 한도가 정해져 있으므로,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은 압류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문의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함께 많이 보는 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