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세대출 금리 8% 육박 잠못드는 세입자

by 10star 2022. 11. 17.
반응형

전세대출 금리 8% 육박 잠못드는 세입자

 

지난해 말과 비교해 상단 3%p 상승
변동금리 많아 대부분 이자부담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차주들이 ‘이자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대부분이 변동금리인 전세대출도 이미 8%대로 치닫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은행의 코픽스 기준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4.86~7.53%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2월말 3.39~4.80%인 것과 비교해 상단이 3%포인트 가까이 상승했고, 9월(4.26~6.57%)과 비교해서도 1%포인트가 넘게 상승한 수치다. 이날 기준 4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가 5.26~7.77%인 것과 비교해서도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

시장금리(MOR)를 사용하는 NH농협은행의 전세대출 금리는 6.03~7.33%다. 농협은행의 코픽스 기준 주담대 금리가 5.67~6.77%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전세대출 금리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가계부를 작성하면 지출 내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입 대비 저축 비율을 높일 수 있으며 비상 예비자금 확보에도 용이하다. 따라서 하루라도 빨리 가계부 쓰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통장 쪼개기다. 목적별로 통장을 구분 지어 관리하면 자금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월급통장/생활비통장/비상금통장/투자통장 등으로 나눠놓으면 보다 체계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용카드보다는 체크카드를 사용하길 권한다.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세대출 금리 8% 육박 잠못드는 세입자

이처럼 전세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건 기준금리 인상 여파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오르자 시중은행들이 예ㆍ적금 금리를 경쟁적으로 높였고, 이 같은 영향이 변동형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에 고스란히 적용되면서 대출금리를 끌어올린 것이다.

 

각에선 은행들이 예대금리차 폭을 줄이기 위해 주담대 위주로 금리인하 등의 조치를 취한 것도 전세대출 금리가 더 가파르게 올라간 이유 중 하나로 지목하고 있다. 가계대출 중 주담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전세대출 금리 8% 육박 

심각한 건 전세대출 금리도 조만간 8%대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11월에 집계될 코픽스의 경우 4%를 훌쩍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달 있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11월에는 시중은행들이 5%대 정기예금까지 쏟아내며 수신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전세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이자부담에 세입자들이 월세를 선택하거나, 젊은 층은 부모님 집으로 주거를 옮기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4대 은행의 전세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1126414억 원으로 한 달 전보다 221억 원 줄었다. 올 들어 매달 증가세를 유지하던 전세대출이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전세대출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