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개인정보도 털렸을까? 검색 한 번으로 확인 방법
내 개인정보도 털렸을까? 검색 한 번으로 확인 방법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야만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 다크웹입니다.
한 스토어에서는 마약류부터 총기류, 백신접종 증명서까지 팔고 있습니다.
강한 익명성이 보장되는 다크웹은 여러나라 서버를 경유해 접속해 추적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한국인 개인 정보도 다크웹에서 주요 거래 대상입니다.
온라인에서 내가 쓰는 아이디나 비밀번호가 혹시 해킹됐는지 아닌지를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바로 조회
다크웹 등에 본인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시행됩니다.
털린 내정보 찾기 서비스란?
인터넷상 불법 유통되는 개인 계정정보(아이디·패스워드)가 다크웹 등 음성화 사이트에서 유통되고 있어 자신의 정보 유출확인을 통해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해당 서비스는 필요한 최소한의 갱인정보를 수집·이용하며 조회 완료 후 즉시 파기됩니다)
해커가 올려놓은 샘플을 들여다봤습니다.
국내 유명 숙박업소 예약 앱 회원들의 이름과 전화번호, 집주소와 주민번호까지 모두 그대로 담겨있습니다.
우리 국민 개인정보는 1년에 약 1000만건이 유출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하지만 개인들은 개인정보 유출 여부 파악이 어렵습니다.
은밀하게 유통되는 개인정보는 또다른 범죄의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앞으로는 자주 사용하는 계정과 비밀번호를 5개까지 입력하면, 개인정보 해킹 여부를 알려줍니다.
다크웹에 떠도는 우리 국민 계정정보 2300만건을 모아 구글과도 연계해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40억건 정도 되는 데이터들을 글로벌 포털사에서 가지고 있는 걸 저희가 기술적으로 활용해서 저희가 취득해 있는 (유출) 아이디·패스워드하고 동시에 연결
해킹이 확인되면 계정의 비밀번호를 바꾸거나 웹사이트 회원 탈퇴를 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2026년까지 다크웹 내 개인정보를 추적해 없애는 기술도 개발할 방침입니다.
털린 내정보 찾기 서비스 특징
이 서비스는 다크웹 등 음성화 사이트에서 불법 유통되고 있는 국내 계정 정보 2300만건과 40억여건의 구글 비밀정보(패스워드) 진단 서비스 등을 활용해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사용방법
① 사이트 접속
사이트 https://kidc.eprivacy.go.kr/
털린 내 정보 찾기 사이트에 접속하여 유출 여부 조회하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② 사용자 인증
· 인증된 사용자만 조회가 가능하므로, 1차인증과 2차 인증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 1차 인증은 이메일 인증으로 이메일 주소로 받은 인증 번호로 입력합니다. (스팸란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팸 메뉴도 확인합니다)
· 1차 인증 완료 후, 2차 인증은 나는 로봇이 아닙니다를 클릭합니다.
③ 유출조회
· 대부분 사용하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같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대 서로 다른 5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고, (5개 미만 입력도 가능) 확인을 누르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④ 결과안내
해당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유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유출 되지 않았습니다"라고 메시지가 나옵니다
해당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유출되었을 경우에는 "유츨이력이 있습니다" 또는 "유출이력있음"이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 개인정보 유출 이력이 있을 경우
① 패스워드 변경
가장 먼저 즉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합니다. 해당 아이디,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사이트에서 패스워드를 즉시 변경하여 명의도용, 사기거래, 보이스피싱 등 2차 유출 피해를 막아야 합니다.
② 명의도용 의심 또는 아이디, 패스워드를 알지 못할 경우
내 명의가 도용하여 사용 되었거나, 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알지 못할 경우에는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를 사용합니다.
※ e플라이버시 클린서비스는 회원 탈퇴 처리 대행 서비스를 해주고 있으며, 만약 장기간 동안 접속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들은 회원 탈퇴를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조회를 통해 유출 이력을 확인한 경우 서비스 내 안전한 패스워드 선택 및 이용안내 메뉴에 따라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사이트에서 휴대전화 인증코드 적용 등 2차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적용해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