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금융 정보

차례상차림 제사상차림, 제사 지방 쓰는법, 설차례상차림, 차례 지내는 방법, 차례, 설차례순서, 제사상 차리는법, 설날 차례상, 차례상, 설 차례상, 제사상

10star 2021. 2. 12. 10:25
반응형

차례상차림 제사상차림, 제사 지방 쓰는법, 설차례상차림, 차례 지내는 방법, 차례, 설차례순서, 제사상 차리는법, 설날 차례상, 차례상, 설 차례상, 제사상

차례상차림 제사상차림, 제사 지방 쓰는법, 설차례상차림, 차례 지내는 방법, 차례, 설차례순서, 제사상 차리는법, 설날 차례상, 차례상, 설 차례상, 제사상


설날인 전국 가정에서 차례상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차례상 예법인 '조율이시', '홍동백서', '어동육서', '두동미서' 등 상차림 명칭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 알아보기 

👉보조금24 : 정부 보조금 신청하기 

 

👉내가 놓친 보험금 12조 지금 받자~

👉맞춤으로 내게 필요한 금액 입금받기

 

👉잠자고 있는 예금과 보험금 찾는 방법

 

차례상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5열로 차린다. 신위(지방)가 있는 쪽을 1열로 보면

 

▷1열은 술잔, 식사류인 밥, 국 또는 떡국, 떡

▷2열은 생선, 고기, 육적, 어전

▷3열에는 고기, 생선, 두부 등을 넣은 탕류

▷4열에는 나물, 물김치, 포, 식혜

▷5열에는 대추, 밤, 과일, 곶감, 과자 등이 올라간다.

이때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올리는 '어동육서'(魚東肉西)와

생선의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으로 두는 '두동미서'(頭東尾西)를 따른다.

 

차례상차림 반값 할인 주문 신청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설날 탭

차례정보 상차리기

1열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림

2열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3열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


4열좌포우혜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5열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임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차례상 준비 시 유의할 점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고추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다.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쓴다.


또 4열에는 좌측에 포를, 우측 끝에 식혜를 두는 '좌포우혜'(左脯右醯)를 지킨다.

과일류를 놓을 때는 '조율이시'(棗栗梨枾)를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로 배치한다. 또 붉은 과일은 동족에, 흰 과일은 서쪽에 두는 '홍동백서'(紅東白西)을 따른다.

또 닭구이나 생선포의 경우 등이 위로 향하게 하는 '배복방향'(背腹方向)을 따르며,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 '숙서생동'(熟西生東)에 맞춰 차례상을 차리면 된다.

1열에는 '반서갱동'(飯西羹東)에 따라 밥과 술은 서쪽, 국은 동쪽, 수저와 그릇은 가운데 놓으면 되나, 설날에는 밥과 국 자리에 떡국을 대신해 올리면 된다.

 

[연관컨텐츠] 관심있게 보는 글 모음

👉숨은정부지원금찾기 [숨어있는정부지원금]

 

 

👉코로나 자가격리 지원금 마지막기회!!

 

 

👉아직 못받은 보조금 지원금 100만원 수령하기

 

 

👉보험해지환급금 100만원 있다면, 바로 조회

 

👉보조금24 : 정부 지원금 한눈에 확인하고 신청방법

 


👉
2분만에 대출 심사 끝내고 입금받기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이라고 본다. 따라서 제주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는데,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보면, 1열은 식사류인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그다음 될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이 올라간다.

 

제사상 차리는 것에 관련된 격언

 

제사상 차리는 방법은 집안마다 다르고, 준비한 음식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일괄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제사상 차리는 것에는 관련된 격언 중 몇가지를소개하니 참고하도록 한다.

고비합설(考妣合設) :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 조상은 함께 차린다.
시접거중(匙楪居中)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반서갱동(飯西羹東) : 밥(메)는 서쪽이고 국(갱)은 동쪽이다(산 사람과 반대)
적접거중(炙楪居中) : 구이(적)는 중앙에 놓는다.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동두서미(東頭西尾) : 머리를 동쪽에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한다.
배복방향(背腹方向)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한다.
면서병동(麵西餠東) : 국수는 서쪽에, 떡은 동쪽에 놓는다.
숙서생동(熟西生東) : 익힌 나물은 서쪽이고,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다.
서포동해·혜(西脯東醢·醯) : 포는 서쪽이고.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에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색의 과실은 동쪽에 놓고, 흰색의 과실은 서쪽에 놓는다.
동조서율(東棗西栗) : 대추는 동쪽이고 밤은 서쪽에 놓는다.

 

제수준비

 

제수에는 크게 신위 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제사는 조상을 한 분만 모실 수도 있지만, 두 분 이상을 한꺼번에 모시는 경우도 있다. 그러니, 일반적인 상차림에비유하면 개인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것이다.제사에서 쓰는 음식은 밥을 메라고 하고, 국을 갱이라고 하는 등 특별한 이름으로 부른다.

1. 신위 별로 준비할 것
밥(메), 국(갱), 숭늉(숙수)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한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이나 송편이 대신한다.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는다. 국은 쇠고기 뭇국을 흔히 쓰고 덮개를 덮는다.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푼다.

 

2. 신위 수와 무관한 것
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떡(편), 찌개(탕), 부침개(전), 구이(적), 포(어포, 육포 등), 식혜(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은 신위 수와 상관없이 준비한다.

두 분을 한꺼번에 모신 경우, 밥(메)과 국(갱) 등이 2벌이다.

술은 맑은 술을 준비한다.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준비한다. 떡은 시루떡을 보통 쓴다. 찌개(탕)은 어탕, 육탕, 계탕 등 홀수로 여러 가지를 올리기도 하고 재료를 3가지를 써서 한꺼번에 만들기도 한다. 부침개는 고기전, 생선전 등을 준비한다.

구이는 조기, 쇠고기, 닭 등을 쓴다. 포는 어포, 육포 등을 준비하는데, 어포의 경우 등이 위로 가게 담는다. 식혜는 식혜 건더기를 담는다. 나물은 색이 다른 3가지를 한 접시에 담는다. 김치는 나박김치를 쓴다. 과일은 짝수로 준비한다. 모든 제수는 향신료(마늘. 후추. 고춧가루. 파)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으로 조리한다.

 

지금까지 차례상차림 제사상차림, 제사 지방 쓰는법, 설차례상차림, 차례 지내는 방법, 차례, 설차례순서, 제사상 차리는법, 설날 차례상, 차례상, 설 차례상, 제사상 알아보았습니다. 

 

설 추석 인사말 설 추석 명절 인사말

 

<지방 쓰는 법>
 
지방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후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 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는다. ()는 돌아가신 아버지, ()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된다. 

학생(學生)은 특별한 관직이 없는 경우를 말하므로 관직에 있던 경우는 관직명을 적을 수 있다. 학생 대신 처사(處士)라고도 쓰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才)나 수사(秀士)라고 쓴다. 부군(府君)은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하며 아랫사람한테는 직접 이름을 쓴다. 여성 쪽은 유인(孺人)이라 쓰고 본관 성씨를 이어 쓰는데 사실 유인(孺人)은 조선시절 외명부의 종9품에 해당하는 명칭이었지만 그냥 벼슬없는 사람들도 함께 사용하는 단어. 가장 보편적으로 쓰는 '학생부군신위'는 영화 제목으로도 쓰인 적도 있는데, 벼슬하지 못한 보통의 남성을 의미한다.
 
학생이나 부군이 관직 안한 사람이 대상이라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만일 대상이 사무관(5) 이상 직급의 공직생활을 한 적이 있을 경우, '학생부군신위'가 아닌 '(직급명) 부군신위'를 쓸 수 있다. 5급 이상의 공무원이라면 '()'(관료)이라 부를 수 있는, 조선시대로 치면 과거(대과) 급제 이후에 해당하는 직급이라고 보아야 하기 때문인 듯 하다.

 


<제사음식>
 
 젯메(()) :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 또는 메탕(飯湯(반탕)) : 쇠고기, ,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삼탕(三湯) : 삼탕을 하려면 육탕은 쇠고기와 무, 봉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 다시마, 두부를 주재료로 탕을 끓여서 건지만 탕기에 담는다.
 
 삼적(三炙) : 육적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두툼하고 크게 조각 내어 양념을 하고 꼬치에 꿰어 석쇠에 굽고, 봉적은 닭의 목과 발을 잘라 내고 배를 갈라서 펴고 찌거나 기름에 지지고, 어적은 숭어, 조기, 도미 등을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굽는다. 삼적은 적틀에 한데 담을 때는 제일 아래에 어적,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 봉적을 담는다. 이는 바다에 사는 생선을 아래 놓고, 땅 위에서 네 발로 다니는 짐승을 중간에 놓고, 가장 위에는 하늘을 나는 짐승인 새 대신 날개 있는 닭을 놓는 것이다. 닭 대신 꿩을 굽기도 한다. 말하자면 하늘과 땅, 바다라는 우주의 이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며 산해진미를 다 차린다는 뜻을 지닌다. 적틀은 가로 24cm, 세로 15cm 정도의 장방형이다.
 
 소적(素炙) : 삼적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두부를 크게 저며서 노릇노릇하게 지져서 따로 한 그릇을 담는다.
 
 향적(香炙) : , 배추김치, 도라지, 다시마 등을 길게 썰어서 꼬치에 넓적하게 꿰어 밀가루즙을 묻혀서 기름에 지진다. 여러 장을 겹쳐서 썰어 한 그릇에 담는다.
 
 간납(肝納) : 전유어를 말하는데 대구, 명태 등의 흰살 생선을 얇게 떠서 전을 지진다.
 
 () : 육포, 어포 등을 놓는다. 보편적으로는 북어포를 입 끝과 꼬리 부분을 잘라 내고 머리가 동쪽에 가도록 놓는다. 동해안 지방에서는 오징어를 놓기도 하고, 남쪽 지방에서는 대구포나 상어포를 올린다.
 
 () : 식혜의 밥알만 건져 제기 접시에 담고 위에 대추 조각을 얹는다. 젓갈 식해를 담던 풍습이 변한 것이다.
 
 숙채(熟菜) : 삼색으로 마련하는데 도라지나물(흰색), 고사리나 고비나물(갈색), 청채는 시금치(푸른색)를 삶아서 무친다. 한 접시에 삼색을 어울려 담는다.
 
 침채(沈菜) : , 배추, 미나리로 고추를 넣지 않고 나박김치를 담근다. 제물에는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쓰지 않고 고명을 얹지 않는다.
 
 (()) : 시루떡인 메편과 찰편을 높이 고이고 위에 경단, 화전, 주악 등의 웃기떡을 올린다. 시루떡의 고물로는 거피팥, 녹두, 깨고물 등을 쓰며, 붉은색 팥고물은 쓰지 않는다. 시루떡은 편틀 크기에 맞추어 썰어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올리면서 쌓는다. 편틀의 가장 아래에 메편을 놓고 위에 찰편을 놓은 다음 웃기떡을 올린다.
 
 () : 대추, , , , 계절 과일 순으로 놓으며, 조과는 유과, 다식, 정과를 3, 5, 7의 가짓수로 배열한다.

 


 

<제사 지내는 방법>
 
제사를 가가례(家家禮)라고 할 정도로 제사를 지내는 방법은 집안마다 다르다. 어떤 집은 제사 음식을 미리 차려두고 절차를 진행하기도 하고, 어떤 집은 찬 음식은 미리 차리고 후에 뜨거운 음식(, 고기, 생선, , 떡 등)을 내오기도 한다. 밥뚜껑을 여는 시점도술을 다 올리고 열기도 하고 술을 올리면서 여는 경우도 있다. 여자가 네 번 절하기도 하지만, 남자와 같이 두 번 절하기도 하고, 아예 여자가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집안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사 지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면, 집안의 어른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글에서는 대체적인 제사의 방법을 소개하며, 평소 집안에서 지내는 방법과 다를 경우에는 집안의 방법을 따르기를 권한다.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祭主)라고 하고, 제주를 돕는 사람을 집사라고 한다.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한다. 다음 영상은 '초헌'이라는 절차를 보여준다. 영상 후에는 대체적인 제사의 절차를 나열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한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초헌과 같다.
 
6. 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아헌과 같은데, 술을 7부로 따라서,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 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한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다. 젓가락을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이를 삽시정저(揷匙定箸)라고 한다.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한다.
 
8. 합문 :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다. 어쩔 수 없는 경우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9. 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11. 철상 : 제사 음식을 물린다. 뒤에서부터 차례로 한다.
 
12. 음복 : 제수를 나누어 먹는다.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 음식을 제수(祭需)라 부르며 제수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다수가 차리는 제사 음식을 가지고 제사상 차리는 방법을 설명한다.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나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紙榜) 등을 신위라고 부른다. 제수에는 신위 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아닌 것이 있다. 제사는 조상을 한 분만 모실 수도 있지만, 두 분 이상을 한꺼번에 모시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상차림에 비유하면 개인별로 준비해야할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 것이다.

 

신위 별로 준비할 것으로 밥, , 숭늉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한다. 명절 차례에는 떡국이나 송편이 대신한다.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는다. 국은 쇠고기 뭇국을 흔히 쓰고 덮개를 덮는다.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푼다.
 
신위 수와 무관한 것으로는 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 찌개(), 부침개(), 구이(), (어포, 육포 등), 식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이 있다.
 
제사상 차리는 법으로 제사상은 보통 5열로 차린다. 제사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이라고 본다. 따라서 제주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는데, 신위가 있는 쪽을 1열로 보면, 1열은 식사류인 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그다음 될 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이 올라간다.